find (절대경로) -name "*" -exec perl -pi -e 's/찾을 문자열/바꿀 문자열/g' {} \; 
% find ./ -name "*" -exec perl -pi -e 's/s6m/s6tmpl/g' {} \;
Can't do inplace edit: ./ is not a regular file. 

메세지는 안 좋게 뜨지만 다  변경되어 있음

'dev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아두면 유용한 워드 단축키  (0) 2015.05.01
tar 명령어 모음  (0) 2014.08.01
linux 시스템 정보  (0) 2012.05.14
[Linux] sub directory 별로 압축할 때  (0) 2012.02.17
비슷한 기능의 Linux/DOS 명령어<펌글>  (0) 2012.01.10

알아두면 유용한 워드 단축키

  • AhnLab
  • 2015-04-21

복사하기(Ctrl + C), 저장하기(Alt + S), 오려두기(Ctrl + X), 실행취소(Ctrl + Z) 등 단축키 몇 개 정도 외워두는 것이 기본인 요즘. 윈도 단축키도 유용하지만 워드에서 문서 작업을 할 때 사용하는 단축키는 문서 편집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 몇 개의 단축키를 더 알아둔다면 그 매력에 푹 빠질지도 모른다. 문서 작성 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워드 단축키 몇 가지를 소개한다. 

 


새 문서 작업 할 때 : Ctrl + N
워드로 문서 작업 중 새로운 문서 작업을 하거나 새로운 창을 띄워야 할 때가 있다. 이 때 마우스를 사용하면 여러 번의 클릭이 필요하지만 단축키는 한 번이면 된다. Ctrl + N을 눌러주면 곧바로 새 문서가 열린다. N을 ‘New’라고 생각하면 금방 외울 수 있을 것이다.

 

문서를 불러 올 때 : Ctrl + O
이미 저장돼 있는 문서를 불러올 때 Ctrl + O를 누르면 마우스 클릭보다 훨씬 빠르다. 파일을 클릭하고 열기를 누르기까지의 과정이 단축키 하나면 한번으로 줄어든다. 

 

텍스트 정렬하기 
문서를 작업하기 전에 문서의 전체적인 틀을 맞추고 텍스트를 정렬하기도 한다. 문서 전체를 양쪽 맞춤 하려면 Ctrl + J, 제목을 가운데로 맞추려면 Ctrl + E, 텍스트를 왼쪽으로 맞추려면 Ctrl + L, 오른쪽으로 맞추려면 Ctrl + R을 사용하자.
 
글꼴 변경 : Ctrl + Shift + F, 글자 크기 조절 : Ctrl + Shift + P
문서 작업에서 글꼴 변경은 필수. 바꾸려는 글자 부분에 블록을 Shift와 우측의 방향키를 누르고 단축키 Ctrl + Shift + F를 누르면 빠르다. 단축키를 누르면 글자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글꼴 상자 창이 한 눈에 들어온다. 한 번에 글꼴, 크기까지 바꾸려면 왼쪽의 탭(Tab)으로 이동을 빠르게 할 수 있다(Ctrl + Shift + P를 눌러도 글꼴 상자 창이 나타난다). 여기에 글꼴 기울이기는 Ctrl + I, 굵기 조절은 Ctrl + B, 밑줄까지 넣고 싶다면 Ctrl + U를 누른다.

 

​​
 

 

글꼴 크기를 자유자재로 조정하기
: 늘일 때 Ctrl + Shift + >, 또는 Ctrl + ], 줄일 때 Ctrl + Shift + <, 또는 Ctrl + [
단축키를 쓰다 보면 글자의 크기나 글꼴을 조절할 때 은근 재미도 쏠쏠하다. 글자의 크기를 늘리려면 Ctrl + Shift + > 또는 Ctrl + ] , 줄이려면 반대로 Ctrl + Shift + < 또는 Ctrl + [를 사용하자.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조절해주면 된다.

 

영문 대/소문자 바꾸기 : Shift + F3
영문으로 문서 편집 시 간혹 대소문자를 입력할 때 스트레스를 받는다. 그럴 땐 Shift + F3이 유용하다. 앞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바꾸려면 Shift + F3 한번, 모두 바꾸려면 Shift + F3을 두 번, 소문자로 바꾸려면 Shift + F3을 한번 더 누르면 된다. 대문자를 입력할 때마다 귀찮게 Caps Lock을 켰다, 껐다 할 필요 없고, 대문자를 칠 때마다 왼손으로 힘주어 Shift를 누를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아예 모두 대문자로 바꾸려면 Ctrl + Shift + A를 한번 누른다. 반대로 소문자에서 모두 대문자로 바꾸려면 Ctrl + Shift + A를 누르면 된다.
 
문서 분할하기 : Ctrl + Alt + S
업무에 따라, 문서 특성에 따라 자주 사용하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문서를 분할해서 작성하려는 사람에게 유용한 단축키다. Ctrl + Alt + S를 누르면 마우스로 어딘가에 있을 메뉴를 찾아 헤매지 않아도 된다. 단축키 한 번이면 된다. 워드로 문서 작업을 하다가 메모가 필요할 때 메모장이나 따로 새 창을 열지 않아도 된다. 

 

하이퍼링크 삽입하기 : Ctrl + K
문서 작업 중 웹사이트의 주소를 넣을 일이 있다면 Ctrl + K를 쓰자. 마우스로 메뉴를 찾아야 하는 시간과 번거로움이 해결된다.  
 
선택하여 붙여넣기 :  Ctrl + Alt + V
Ctrl + V가 붙여넣기의 단축키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여기에 Alt를 추가로 누르면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붙여넣기를 할 수 있다. Ctrl + Alt + V를 누르면 현재 작업 중인 문서의 형식에 얽매이지 않아 편리하다. 

 


 

 

문서를 닫을 때 :  Ctrl + W, 문서 종료 시 : Alt + F4
문서 작업을 완료했거나, 중요 문서 작업 중 자리를 비울 경우에는 일일이 마우스로 문서를 닫을 필요 없이 Ctrl + W를 눌러주자. 문서 창을 닫을 때는 반드시 Ctrl + S를 눌러 저장하자. 무심코 닫았다가는 공들여 작업한 문서를 다시 작업해야 하는 수고가 따른다.  워드 문서 작업을 마치고 종료할 때는 Alt + F4를 사용하자. 마우스로 손을 왔다 갔다 하기 전에 이 키만 누르면 퇴근할 때는 더 유용할 것이다.
 
단축키 중에는 한글과컴퓨터의 한글  Microsoft 워드(메모장), Microsoft 파워포인트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도 있다. 잘라내기(Ctrl + X), 복사하기(Ctrl + V), 저장하기(한글과컴퓨터의 한글은 Alt + S, Ctrl + S) 모두 사용)), 실행취소(Ctrl + Z), 문서 종료(Alt + F4)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

  • AhnLab 로고

이 정보에 대한 저작권은 AhnLab에 있으며 무단 사용 및 도용을 금합니다.

단, 개인이 비상업적인 목적으로 일부 내용을 사용하는 것은 허용하고 있으나, 이 경우 반드시 출처가 AhnLab임을 밝혀야 합니다.
기업이 이 정보를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AhnLab 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허가 없이 정보를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로 간주되어 법적인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컨텐츠 이용약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정보 이용 문의 : contents@ahnlab.com

'dev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내 문자 치환  (0) 2016.07.05
tar 명령어 모음  (0) 2014.08.01
linux 시스템 정보  (0) 2012.05.14
[Linux] sub directory 별로 압축할 때  (0) 2012.02.17
비슷한 기능의 Linux/DOS 명령어<펌글>  (0) 2012.01.10

목차

  1. tar 소개
  2. 미리 알아두면 좋을 것들
    1. 옵션주는 방법
    2.  -f와 -v옵션이 많이 쓰이는가?
    3.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작업
  3. 기본 명령어 활용예
    1. 아카이브 풀기
    2. 아카이브 만들기
    3. 아카이브 내용보기
    4. 퍼미션을 유지하며 아카이브 만들기
    5. tar+gzip 압축하기
    6. tar+bzip2 압축하기
    7. gzip으로 압축된 tar 풀기
    8. bzip2로 압축된 tar 풀기
    9. 허가권(Permission) 유지하며 풀기
  4. 백업에 활용하기
    1. 아카이브에 새 파일 추가하기
    2. 아카이브에 파일 업데이트하기
    3. 아카이브에 파일 삭제하기
    4. 아카이브에서 특정 디렉토리 또는 파일만 풀기
    5. 옛버전 파일 풀기
    6. 아카이브에서 파일 비교하기
  5. 기타

모든 하위 디렉토리에 특정 소스만 묶고 싶을 때는?

TAR 명령어의 모든것

1 tar 소개

주요기능은?

아카이브를 만들거나 푼다.

아카이브란?

아카이브는 여러 파일을 한 파일로 묶은 것을 말한다. tar는 아카이브를 압축하지 않는다. 단지 하나의 파일로 묶을 뿐이다. 아카이브의 압축은 gzip이나 bzip2등을 이용한다.

아카이브를 만드는 목적

파일의 백업이나 배포에 편리하게 이용된다.

확장자

아카이브의 확장자는 .tar 이다. 일반적으로 tar로 묶인 아카이브를 gzip으로 압축하여 확장자가 .tar.gz 압축 아카이브를 많이 이용한다.

유래

원래, tar 아카이브는 마그네틱 테이프에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그래서 tar는 tape archiver에서 유래한다.

2 미리 알아두면 좋을 것들

2.1 옵션주는 방법

긴 형식 옵션

tar --create --verbose --file=afiles.tar apple angst aspic

짭은 형식 옵션

tar -c -v -f afiles.tar apple angst aspic

또는 붙여서

tar -cvf afiles.tar apple angst aspic

tar 는 반드시 옵션이 필요 해서 옵션에 - 를 붙이지 않아도 된다.

tar cvf afiles.tar apple angst aspic

2.2 왜 -f와 -v옵션이 많이 쓰이는가?

-f --file=

-f 는 아카이브 파일의 이름을 지정해 주는 옵션이다. -f 가 없으면 아카이브의 이름이 없는 샘이다. 따라서, -f 로 아카이브의 이름을 꼭 명시해야 한다. tar는 아카이브 이름이 없으면 디폴트 이름을 취한다. 원래 tar의 목적대로 (디폴트로 엑션) 테입드라이브로 아카이브를 저장하려 들지도 모른다. 요즘은, 컴퓨터에 마그네틱 테입 드라이브가 없으므로 에러가 발생할 것이다.

-v --verbose

-v 옵션이 있으면 아카이브에 추가되거나 풀리고 있는 파일의 이름을 화면에 보여준다. 진행사항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는게 좋다.

"ls -l" 과 같은 형식으로 파일을 보려면 v를 두번 써준다.

tar -cvvf afiles.tar 파일들(디렉토리들)

2.3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작업

--create -c 새로운 아카이브를 생성한다.

--list -t 아카이브의 내용(묶인 파일이름)을 보여준다.

--extract -x 아카이브에 묶인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풀어준다.

·  아카이브의 파일 리스트 보기

3 명령어 활용예

3.1 아카이브 풀기

 tar -xvf afiles.tar

afiles.tar 라는 아카이브 파일에 묶인 파일과 디렉토리를 현재 디렉토리에 풀어준다.

3.2 아카이브 만들기

 tar -cvf afiles.tar 묶을파일과디렉토리들

afiles.tar 라는 이름으로 파일과 디렉토리를 묶어준다.

3.3 아카이브 내용보기

 tar -tvf afiles.tar 묶을파일과디렉토리들

afiles.tar 라는 이름으로 묶인 파일과 디렉토리를 보여 준다.

3.4 퍼미션을 유지하며 아카이브 만들기

 tar -cvfp archive.tar 묶을파일과디렉토리들

afiles.tar 라는 이름으로 퍼미션을 유지하며 파일과 디렉토리를 묶어준다.

3.5 tar+gzip 압축하기

tar -czvf afiles.tar.gz 묶을파일과디렉토리들

afiles.tar.gz 라는 이름으로 파일과 디렉토리를 묶어준다.

tar -czvfp afiles.tar.gz 묶을파일과디렉토리들

afiles.tar.gz 라는 이름으로 퍼미션을 유지하며 파일과 디렉토리를 묶어준다.

3.6 tar+bzip2 압축하기

tar -cjvf afiles.tar.bz 묶을파일과디렉토리들

afiles.tar.bz 라는 이름으로 파일과 디렉토리를 묶어준다.

tar -cvjfp afiles.tar.gz 묶을파일과디렉토리들

afiles.tar.gz 라는 이름으로 퍼미션을 유지하며 파일과 디렉토리를 묶어준다.

3.7 gzip으로 압축된 tar 풀기

 tar -xvzf afiles.tar.gz

afiles.tar.gz 라는 tar 로 묶인뒤 gzip 으로 압축된 파일을 먼저 압축을 푼뒤에 묶인 파일까지 풀어준다.

3.8 bzip2로 압축된 tar 풀기

 tar -xvjf afiles.tar.bz

afiles.tar.bz 라는 tar 로 묶인뒤 bzip2로 압축된 파일을 먼저 압축을 푼뒤에 묶인 파일까지 풀어준다.

3.9 허가권(Permission) 유지하며 풀기

 tar -xpf afiles.tar

파일을 묶을 당시의 각 파일의 허가권을 유지하며 풀어준다.

4 백업에 활용하기

4.1 아카이브에 새 파일 추가하기

 tar --append --file=collection.tar rock

또는

 tar -rvf collection.tar rock

collection.tar 라는 기존 아카이브 파일에 rock라는 파일을 추가한다. 옵션은 --append (-r) 이다.

똑같은 이름의 파일이 아카이브에 추가되면 기존의 오래된 파일은 지워지지 않고 아카이브에 남아 있는다.

따라서 같은 이름의 파일을 여러번 추가하면 (append) 추가된 시간별로 여러 버전의 파일이 존재한다. 그러나, 아카이브를 풀때는 가장 최신 파일이 풀린다.

4.2 아카이브에 파일 업데이트하기

 tar -uvf collection.tar blues folk rock classical

collection.tar 라는 기존 아카이브에 blues folk rock classical등 4 개의 파일을 업데이트 한다. 업데이트는 날자와 시간을 기준으로 실행한다. 아카이브에 있는 파일과 업데이트할 파일이 수정된 날자가 같으면 아카이브에 추가하지 않는다.

만약 아카이브에 있는 파일보다 최근에 수정이 되었으면 아카아브에 추가한다. 기존의 오래된 파일은 지워지지 않고 남아 있는다.

따라서, 업데이트를 여러번 하면, 같은 이름의 파일이 수정된 시간별로 여러가지 버전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아카이브를 풀때는 가장 최신 파일이 풀린다.

아카이브를 풀때 옵션은 --update(-r)이다.

4.3 아카이브에 파일 삭제하기

 tar --delete --file=collection.tar blues

collection.tar 라는 기존 아카이브에서 blues라는 파일을 삭제한다. 주의할 것은 모든 blues파일을 삭제한다는 것이다. 모든 디렉토리내의 blues파일과 여러 버전의 blues가 모두 삭제된다. 다른 옵션과 달리 삭제 옵션인 --delete는 짧은 형식의 옵션이 없다.

3.4 아카이브에서 특정 디렉토리 또는 파일만 풀기

명시된 파일 풀기: collection.tar 라는 아카이브에서 blues라는 파일만 현재 디렉토리에 푼다.

tar --extract --file=collection.tar blues

디렉토리까지 명시: music.tar 에서 practice/folk와 practice/jazz파일만 푼다.

tar -xvf music.tar practice/folk practice/jazz

 

*** 실제 활용 예 ***

tar xzvfp /backup/20050107/20050107.tar.gz /home/ home/yc1500

tar [옵션] [아카이브파일명] [압축을풀어놓을 대상디렉터리] [압축파일내의 특정파일(폴더)]

p 옵션: 허가권 유지 옵션

 

4.5 옛버전 파일 풀기

 tar --extract --file archive.tar --occurrence=2 myfile 

archive.tar 라는 아카이브에서 2번째 버전의 myfile을 푼다.

 tar --extract --file archive.tar --occurrence 

archive.tar 라는 아카이브에서 첫번째 버전의 모든 파일을 푼다.

4.6 아카이브 파일과 실제 파일 비교하기

 tar -d -f archive.tar *.c

archive.tar라는 아카이브에 모든 c파일들과 현재 디렉토리의 c파일을 비교한다. 수정 날자와 내용을 비교하고 내용이나 날자가 다르면 화면에 보여준다.

5 기타

5.1 모든 하위 디렉토리의 특정 소스만 묶고 싶을 때는?

쉘 컴멘드와 조합하여 특정 소스를 찾아서 아카이브에 추가 할 수 있다.

먼저 아카이브를 하나 만든다.

 tar -cvf test.tar prog1.c

for 문과 find 명령을 이용해서 하위 디렉토리의 묶고 싶은 파일을 찾고, tar의 -r 옵션으로 test.tar에 하나씩 추가한다.

 for i in $(find . -name '*.c'); do tar -rvf test.tar $i; done

find 의 다양한 검색능력을 100%활용할 수 있다. 

* 출처 : http://rjh1147.tistory.com/6

'dev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내 문자 치환  (0) 2016.07.05
알아두면 유용한 워드 단축키  (0) 2015.05.01
linux 시스템 정보  (0) 2012.05.14
[Linux] sub directory 별로 압축할 때  (0) 2012.02.17
비슷한 기능의 Linux/DOS 명령어<펌글>  (0) 2012.01.10

Linux 시스템에 대한 정보

/proc 디렉토리 아래 파일을 출력해 봄으로써 간단한 정보를 알수있습니다.

* 몇가지 소개를 합니다. /proc/cpuinfo : cpu 정보 

/proc/pci : pci 정보 

/proc/interrupts : 사용중인 irq 정보 

/proc/dma : 사용중인 dma 채널

/proc/ioports : 사용중인 i/o 포트 정보 

/proc/filesystems : 현재 사용가능한 화일 시스템 

/proc/meminfo : 현재 사용중인 메로리 

/proc/partitions : 현재 사용중인 파티션 

/proc/swaps : 현재 사용중인 스왑 파티션 정보 

/proc/version : 현재 사용중인 커널 버전 

/proc/devices : 현재 사용중인 드라이버

/proc/cmdline : 현재 사용중인 부트 이미지

'dev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내 문자 치환  (0) 2016.07.05
알아두면 유용한 워드 단축키  (0) 2015.05.01
tar 명령어 모음  (0) 2014.08.01
[Linux] sub directory 별로 압축할 때  (0) 2012.02.17
비슷한 기능의 Linux/DOS 명령어<펌글>  (0) 2012.01.10
Linux 에서 특정 위치의 directory 내에서 sub directory 가 많고 각 sub directory 별로 압축 할 때

exe)

 find `ls` -type d -maxdepth 1 -exec tar -cvjf "{}.tar.bz2" "{}" \;


'dev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내 문자 치환  (0) 2016.07.05
알아두면 유용한 워드 단축키  (0) 2015.05.01
tar 명령어 모음  (0) 2014.08.01
linux 시스템 정보  (0) 2012.05.14
비슷한 기능의 Linux/DOS 명령어<펌글>  (0) 2012.01.10

list 보기                                ls          /          dir
디렉토리 생성                       mkdir        /          mkdir , md
디렉토리 삭제                       rmdir        /          rmdir , rd
디렉토리 트리                       ls -R         /          tree
파일 삭제                              rm          /          del , erase
파일 복사                              cp          /          copy
파일 이동                              mv         /          move
이름 변경                              mv         /          rename
change directory                   cd          /          cd
현재 디렉토리 표시                 pwd          /          cd
화면 정리                              clear       /          cls
명령어 해석기                    sh, csh, bash /          command.com
파일 내용 표시                      cat           /          type
도움말, 메뉴얼                      man          /          help
쉘 종료, 도스창 종료               exit           /          exit
시간 표시                             date         /          time
그대로 출력                          echo         /          echo
환경변수 표시                     set,env        /          set
경로 보기                        echo $PATH    /          path
버전 정보                         uname -a      /           ver

  • < network 관련 프로그램 >

사용자 정보 출력                                     finger       /      finger
ping                                                      ping       /       ping
라우팅 테이블                                       route -n     /       route print
네임서버 쿼리 툴                                 nslookup       /       nslookup
telnet                                                 telnet       /       telnet
ftp                                                         ftp       /       ftp
네트워크 경로 trace                          traceroute       /       tracert



  • < 파일, 디렉토리 , 문자열 관련 >


파일 안의 문자열 찾기                                   find       /      find
파일 안의 문자열 찾기                                  grep       /      findstr
긴 화일 한 화면씩 출력                                 more       /       more
2개 파일 내용 비교                                        diff       /       fc, comp
라인 에디터                                                 ed       /       edlin
문자열, 라인별 정렬                                    sort        /       sort
하위 디렉토리까지 복사                               cp -R       /       xcopy
file 속성 표시                                          lsattr        /       attrib
현재 경로를 저장 후 이동                            pushd       /        pushd
pushd로 저장한 경로로 이동                         popd       /        pupd
화일 감추기                                                   mv file .file       /       ATTRIB +h or -h
압축                                                               tar , zip          /          pkzip

  • < 시스템 관련 >

프로세스 정보                                       ps, top       /       taskmgr
컴퓨터 호스트명                                 hostname       /       hostname
scheduling                                         at, cron       /       at
프로세스 종료                                    kill , killall        /       tskill
시스템종료                        shutdown, halt, init 0       /       shutdown
file system 관련                                    mke2fs       /       format
ip표시,interface표시, 설정                        ifconfig       /       ipconfig
fdisk                                                      fdisk       /       fdisk
디스크검사                                              fsck        /        chkdsk
free memory 보기                                free, top       /       mem
scandisk                                         fsck, debugfs   /       scandisk



아래 링크는 redhat linux 문서 중

DOS와 LINUX 간에 비슷한 명령을 표로 나타낸 문서입니다. 

http://203.249.6.162/doc/starting-ko/ch-doslinux.html

 또 아래 링크를 보면 DOS 와 Linux 의 명령을 나열하고

기능상의 차이점이나 성능상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http://wiki.kldp.org/wiki.php/LinuxdocSgml/Dos-Win-to-Linux-HOWTO


아래 링크는 명령이 몇 개 없지만

각 리눅스/유닉스 명령을 클릭하면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http://linux.sarang.net/paper/unix_help/DOStoUNIX.html

 

'dev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내 문자 치환  (0) 2016.07.05
알아두면 유용한 워드 단축키  (0) 2015.05.01
tar 명령어 모음  (0) 2014.08.01
linux 시스템 정보  (0) 2012.05.14
[Linux] sub directory 별로 압축할 때  (0) 2012.02.17

+ Recent posts